로고

기독성심원

로고

기독성심원 사이트맵
  • 성심성의 멤버스
  • 후원안내
  • 성심성의 멤버스

    후원안내

    기독성심원의
    후원자가 되시려면?

    본원의 후원자가 되시려면 후원신청서를 작성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또는 직접 본원에 방문해주시거나 전화상담을 하셔도 됩니다.
    여러분이 내시는 후원금은 연말정산시 법인세법 18조, 소득세법 66조 3항에 의거하여 소득공제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후원종류

    CMS후원 : 후원신청서를 작성하여 주시면 약정 후원금이 후원자님 계좌에서 자동으로 출금이체 됩니다.
    자동이체 : 약정 후원금을 후원계좌로 이체해 주실 수 있습니다 (농협: 485139-51-013614 예금주 : 기독성심원)
    물품후원 : 생활용품, 전자제품, 가전제품, 식재료, 의약품, 도서, 컴퓨터 등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것들이 필요합니다.

    견적제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

    페이지 정보

    추천인 추천인: 담당자담당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 휴대폰휴대폰: 성별성별: 이메일이메일: 조회열람횟수:3회 신청일:신청일:25-04-10 05:29

    본문

    담당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

    추천인

    핸드폰번호

    성별

    생일

    이메일

    주소

    우편물수령지

    후원금구분

    후원금

    후원금계좌

    물품후원

    물품명 :

    수량 :

    산출금액 :

    후원금액

    일시금액 :

    월후원금액 :

    기타금액 :

    자동이체

    은행명 :

    예금주성명 :

    계좌번호 :

    이체일 :

    후원목적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관세에 관한 연설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관세전쟁’ 전야인 8일 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통화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구상은 상호관세를 무기 삼아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증액과 알래스카 가스관 투자,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조선업 투자 확대를 압박하는 데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왜 양국 간 현안 중에서도 이 네가지에 사활을 거는 것일까.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관세 협상 책임자로 지명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8일(현지시각) 시엔비시(CNBC)와 한 인터뷰에서 한국과의 협상 카드로 ‘알래스카 석유·천연가스 개발 사업’을 지목했다. 이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노스 슬로프 지역에 매장된 천연가스를 1300㎞에 이르는 가스관 등을 깔아 알래스카 남부 부동항인 니키스키까지 운반해 수출하는 개발 사업이다. 총개발비만 387억달러(약 57조원)로 추정되는 초대형 프로젝트인데, 사업성이 불투명해 미국 민간 기업들은 일찍이 발을 뺐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 행정명령을 통해 알래스카 개발 사업을 “최우선에 두겠다”고 선언한 뒤 일본, 한국 등에 투자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 입장에서 알래스카산 천연가스는 운송 거리가 짧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업의 경제성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에 자칫 큰돈을 들여 비싼 가스를 장기 구매하는 악수가 될 수 있다.미국이 한국 조선업에 관심을 갖는 것은 자국 조선업의 위기와 관련돼 있다. 강한 해군력에 바탕을 둔 미국의 해양 패권은 자국 조선업의 쇠퇴로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400여곳에 달했던 조선소는 현재 21곳까지 줄었고, 군용 함정 수는 219척으로 중국(234척)에 뒤처져 있다. 조선 경쟁력이 떨어져 군함의 유지·보수·정비(MRO)도 동맹국에 맡겨야 할 처지다. 한국의 조선 수주 점유율(지난해 기준 17%)은 중국(71%)에 이어 세계 2위다. 미국의 요구는 한국의 조선 기업들이 미국 내 조선소에 투자해 미국에서 배를 만들라는 것이다. 이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관세에 관한 연설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관세전쟁’ 전야인 8일 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통화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구상은 상호관세를 무기 삼아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증액과 알래스카 가스관 투자,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조선업 투자 확대를 압박하는 데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왜 양국 간 현안 중에서도 이 네가지에 사활을 거는 것일까.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관세 협상 책임자로 지명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8일(현지시각) 시엔비시(CNBC)와 한 인터뷰에서 한국과의 협상 카드로 ‘알래스카 석유·천연가스 개발 사업’을 지목했다. 이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노스 슬로프 지역에 매장된 천연가스를 1300㎞에 이르는 가스관 등을 깔아 알래스카 남부 부동항인 니키스키까지 운반해 수출하는 개발 사업이다. 총개발비만 387억달러(약 57조원)로 추정되는 초대형 프로젝트인데, 사업성이 불투명해 미국 민간 기업들은 일찍이 발을 뺐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 행정명령을 통해 알래스카 개발 사업을 “최우선에 두겠다”고 선언한 뒤 일본, 한국 등에 투자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 입장에서 알래스카산 천연가스는 운송 거리가 짧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업의 경제성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에 자칫 큰돈을 들여 비싼 가스를 장기 구매하는 악수가 될 수 있다.미국이 한국 조선업에 관심을 갖는 것은 자국 조선업의 위기와 관련돼 있다. 강한 해군력에 바탕을 둔 미국의 해양 패권은 자국 조선업의 쇠퇴로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400여곳에 달했던 조선소는 현재 21곳까지 줄었고, 군용 함정 수는 219척으로 중국(234척)에 뒤처져 있다. 조선 경쟁력이 떨어져 군함의 유지·보수·정비(MRO)도 동맹국에 맡겨야 할 처지다. 한국의 조선 수주 점유율(지난해 기준 17%)은 중국(71%)에 이어 세계 2위다. 미국의 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